반응형
1. Fuzzy Logic
‘모호한’이라는 뜻의 명확하게 정의될 수 없는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
처음엔 단어의 이름 때문인지 주목받지 못했으나 일본 가전제품에 많이 활용되며 주목받기 시작
이름 그대로 애매한 논리라는 것이 아니라, 애매함을 다루는 질서 정연한 논리.
모호한 단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지식을 표현
● 이진 논리 : 참/거짓(0/1) = 흑백논리
한계 : 예를 들어 수학 점수가 80점 이상이 '우수', 이하는 '미흡'이라면 79점은 '미흡'이라고 할 수 있을까?
● 퍼지 논리 : 지식 표현의 애매성을 해결
(키가 작음, 약간 큼, 큼, 매우 큼) = (0.0, 0.3, 0.6, 0.9)
명제 논리 |
퍼지 논리 |
기존집합(크리스프 집합) : F/T, 소속함수로 표현 |
경계가 모호한 집합으로, |
2. 퍼지 집합 표기 방법
(예) 퍼지 규칙
- 규칙 : if 온도가 높다 then 팬 속도 올린다.
- 사실 : 온도가 약간 높다.
- -> 결론 : 팬의 속도를 약간 빠르게 한다.
3. Fuzzy Logic System
- Input :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적절한 소속 함숫값으로 매핑한다.(퍼지화)
- Processing : 추론엔진이 적절한 규칙들을 점화해 각 규칙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결합한다.
- Output : 결합된 규칙들의 결과를 특정 출력 값으로 다시 변환한다.(역퍼지화)
반응형
'똑똑해지기 > Artificial Intellig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시스템 & Genetic Algorithm 이해하기 (0) | 2021.04.13 |
---|---|
Knowledge Representation (0) | 2021.04.12 |
딥러닝 Anaconda 가상환경 만들기- 라이브러리 설치 (0) | 2021.04.10 |
NN & Machine/Deep Learning (0) | 2021.04.09 |
Intro. 인공지능? (0) | 2021.04.08 |